에코디자인 이란?
우수한 환경성능을 보유하고 사업화 가능성이 높은 ‘혁신형 에코디자인’ 사업아이템으로써 아래의 3유형으로 분류
- ① 사회적 이슈의 친환경적 해결형 : 자원·화학물질·미세먼지 등 우선순위가 높은 사회적 이슈를 친환경적으로 해결하는 아이템
- ② 소비자의 친환경 생활 유도형 : 안전함과 편리함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충족시키는 아이템
- ③ 친환경적 재설계(Redesign)형 : 일상에서 흔히 사용하는 제품으로써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친환경적으로 재설계한 아이템
<혁신형 에코디자인 추구 사례(과거 지원 아이템)>
혁신형 에코디자인 추구 사례
소주제 |
예시 |
① 사회적 이슈의 친환경적 해결형 |
 고강도 플라스틱 맨홀 뚜껑 |
- 개발 배경
- 마스크 착용부의 공기누설로 미세먼지 차단효과 급감
- 일회용 마스크 사용으로 자원낭비와 구입비용 증가
- 에코디자인 포인트
- 방독면 내부를 코와 입 호흡실로 나눔 ⇨ 평상시에는 코호흡실의 날숨만 흡입 ⇨ 마스크 내부(입호흡실)에 잔류하는 날숨흡입을 줄여 들숨의 산소농도 증가
- 교환필터의 여과면적을 확장 ⇨ 필터의 수명 증가하며 일회용 마스크 대체 가능
|
② 소비자의 친환경 생활 유도형 |
 휴대용 이면지 활용장치 |
- 개발 배경
-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 감소를 위한 스테인리스, 실리콘 빨대 등 재사용 빨대 사용 증가로 인한 제품 시장 확대
- 재사용 빨대 세척시 세척솔로 세척해야하는 불편함 발생
- 에코디자인 포인트
- 개방형의 두 구성품을 결합하는 방식 ⇨ 분리를 통해 세척솔 없이 빨대 내부를 직접 확인 및 세척 가능
- 실리콘 재질 사용 ⇨ 실리콘의 특성상 인체 무해하며 및 보관에 용이
|
③ 친환경적 재설계 (Redesign)형 |
 테이프없는 택배 박스 |
- 개발 배경
- 일회용컵 사용규제로 텀블러 이용자수 증가
- 기존의 텀블러는 내부 세척이 불편하며 둥근형태의 단순한 구조
- 에코디자인 포인트
- 반지름으로 분리되는 구조 ⇨ 청소도구 없이 분리하여 세척 가능하며 액체뿐만 아니라 고체도 보관 가능
- 다양한 형태의 텀블러 제작 ⇨ 캐릭터, 회사 로고 등 목적에 맞는 모형의 텀블러 제작 가능
|
에코디자인(Eco-design) 개념 및 유형
(개념) 제품의 전과정(원료채취, 수송, 생산, 사용, 폐기)에서 발생하는 환경부하를 설계단계에서 미리 평가하여 저감시키는 기법
- 제품에 의한 환경부하는 70~80%가 설계단계에서 결정
- 1980년대에 제안된 위 개념은 ‘00년도 전후부터 확산되기 시작한 제품환경규제나 인증제도 등에 지대한 영향
(개념확대) 기존의 개념은 더욱 확장되어 “제품뿐만 아니라 서비스 등 모든 인공물에 대한 친환경적 개발 활동”으로 업그레이드
- 폐기물에 예술적 가치 부여하는 ‘업사이클’ 형태나 주로 빈곤한 국가에서의 지속가능성을 이슈로 한 ‘적정기술’형 에코디자인 등장
- 최근에는 각종 사회적 이슈를 친환경적으로 해결하는 ‘혁신형 에코디자인’이 부각
에코디자인 유형
환경부 에코디자인 지원사업 추진경과
(사업초기) ‘00년대 초반 EU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에코디자인 적용을 의무화하는 제품환경규제가 새로운 ’무역장벽‘으로 대두
- ‘전기/전자제품 유해화학물질 제한지침’ (RoHS), 폐전기전자제품처리지침(WEEE), 에너지사용제품에 대한 에코디자인 지침(EuP) 등 이 대표적
- 사업의 초창기에는 산업계가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에코디자인 지침 개발/보급 등 인식제고와 규제대응역량 강화에 중점
(사업중반) 이후 ‘00년대 후반부터는 규제대응을 넘어선 새로운 제품 경쟁력의 수단으로서 에코디자인 적용의 필요성 확산
- 탄소성적표지, 환경마크 등 국내외 친환경 인증대응을 위한 에코디자인 지원 수요 증가
- 환경적/경제적 이득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에코디자인 프로세스 구축에 대한 수요 증가
(현재) 환경 중소/벤처 기업의 다양한 창의성이 시장에서 인정받고 녹색소비 문화와 연계될 수 있는 정부지원방안 필요
- 규제대응을 넘어선 새로운 경쟁력 수단으로서 에코디자인 진화
- 시장의 자율적인 확산을 위해서 우수 성공사례 발굴을 지원하고 홍보하는 ‘혁신형 에코디자인 지원사업’의 수요 증가 확인
※ ‘에코디자인 중장기 로드맵 수립(‘11) 및 에코디자인 사업 기업의견 수렴(’13) 등 모니터링 활동을 통해 글로벌 트렌드와 지원사업의 개선방안 모색
주요 사업내용
- 혁신형 에코디자인 지원사업 추진 (‘13∼’20)
-
- 혁신형 에코디자인 사업공모전 추진
- 사회이슈 해결형, 친환경 생활 유도형, 재설계(Redesign)형의 롤모델 제시
- 매년 100여건의 사업화 아이템 접수
- 기업형 사업아이템 시제품 개발 지원
- 혁신적이며 사업성 높은 아이템을 3단계 심의 절차를 통해 선정
- ‘13년(10건) → ’14년(10건) → ‘15년(15건) → ‘16년(13건) → ‘17년(10건)→ ‘18년(9건)→ ‘19년(9건)→ ‘20년(9건)
- 혁신형 에코디자인 국내·외 전시관 운영(국내 7회, 국외 3회)
- 매년 ‘대한민국 친환경대전(코엑스몰)’ 통해 사업결과물 홍보
- 국내 우수 에코디자인 제품 전시하여 해외 시장 진출 촉진
- 시제품의 사업화 및 시장진출을 위한 후속지원 진행
- 에코디자인 제품의 녹색시장 정착을 위한 친환경 인증 지원 추진(17건, ‘14~)
- 안정적인 시장 진입 유도를 위한 크라우드펀딩 지원 도입(7건, ‘20~)
- 에코디자인 우수사례집 개발/보급
- 환경친화적 경제성장의 성공사례를 제공하여 더욱 다양한 산업계의 참여를 유도
- 국내·외 전시회 등 관련 행사 현장 및 ‘환경경영정보포털’ 온라인 배포
주요사업 로드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