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녹색분류체계 경제활동 해설서

(1) 기후변화 적응 핵심기술 활용을 위한 소재·부품·장비 제조

  • 기후변화

    사람의 활동으로 인하여 온실가스의 농도가 변함으로써 상당 기간 관찰되어 온 자연적인 기후변동에 추가적으로 일어나는 기후체계의 변화

‘기후변화 적응 핵심기술 활용을 위한 소재·부품·장비 제조’ 활동

자연·인위적 시스템의 조절을 통해 기후변화로부터의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목적으로써 기후변화 적응의 핵심기술인 재난 방지시설․시스템, 기후 예측시설․시스템, 물 공급, 해수담수화, 하폐수 재이용에 필요한 소재·부품·장비를 생산하기 위한 설비를 구축·운영하는 경제활동이다.


해당 경제활동에는 기후변화 적응 관련 다양한 분야 중 해수담수화, 하폐수처리수 재이용시설 등의 수자원 공급을 위한 소재·부품·장비를 제조하기 위한 설비를 구축·운영하는 활동이 포함된다.


해당 경제활동이 기후변화 적응의 핵심기술인 재난 방지시설·시스템, 기후 예측시설·시스템, 물 공급, 해수담수화, 하폐수 재이용에 필요한 소재·부품·장비를 생산하기 위한 설비를 구축·운영하는 활동인지 여부를 관련 자료를 통해 확인하여야 한다.

기후변화 적응

기후변화 적응이란 현재 나타나고 있거나 미래에 나타날 것으로 보이는 기후변화의 파급효과와 영향에 대해 자연·인위적 시스템의 조절을 통해 피해를 완화시키거나 더 나아가 유익한 기회로 촉진시키는 활동을 말한다.



이미 배출된, 그리고 배출되고 있는 온실가스로 인해 기후변화의 발생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이로 인한 영향과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감축과 적응을 동시에 시행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을 예측하고 취약성을 평가하여 통합적인 평가가 이루어진 국가 대비체계를 마련하는 등의 국가 차원의 적응대책이 지속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재난 방지 시설·시스템

기후변화에 따라 야기되는 자연재해인 폭설, 가뭄 또는 물부족, 집중호우 또는 홍수, 태풍, 해수면 상승, 대기질 저하(황사, 미세먼지 등) 등의 재난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시설·시스템을 의미한다. 도시 내 침수위험지역에 대하여 하수도 또는 빗물유출 저감시설(저영향 개발 등)을 확충하거나, 도시 내 재해취약지역에 대하여 지정․관리하여 유기적인 홍수량을 분담하는 방안들이 있다. 또한 가뭄 대비로 저수지, 다목적․용수댐 구축이나, 산사태 예방을 위한 재해방지용 숲 가꾸기, 재해취약지역에 대한 조기 정비 및 관리강화를 위한 DB 및 관리시스템 등을 구축하고 운영하는 활동이 해당된다.

기후 예측시설·시스템

기후변화 및 극한기상에 대한 예측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설치하는 시설·시스템을 의미한다. 고해상도 예측모델 및 한국형 수치예보 모델을 개발하거나, 침수위험지역 또는 재해취약지역의 관리를 위한 DB 및 관리시스템 등을 구축하고 운영하는 활동이 해당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