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사람의 활동으로 인하여 온실가스의 농도가 변함으로써 상당 기간 관찰되어 온 자연적인 기후변동에 추가적으로 일어나는 기후체계의 변화기후 예측시설
현재나 과거의 기후 조건을 바탕으로 통계적 또는 역학적인 방법으로 향후에 기후가 어떻게 전개될 것인가를 추정하는 시설재난 방지 및 기후 예측시설·시스템 구축·운영
기후변화에 따른 재난을 방지하거나 기후를 예측하는 시설·시스템을 구축·운영하는 활동이다.
해당 경제활동에는 기후변화에 따라 야기되는 자연재해인 폭설, 가뭄 또는 물부족, 집중호우 또는 홍수, 태풍, 해수면 상승, 대기질저하(황사, 미세먼지 등) 등의 재난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후변화 및 극한기상에 대한 예측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고해상도 예측모델 및 한국형 수치예보 모델을 개발하거나 도시 내 침수위험지역에 대하여 하수도 또는 빗물유출 저감시설(저영향 개발 등)을 확충하거나 도시 내 재해취약지역에 대하여 지정·관리하여 유기적인 홍수량을 분담하는 활동 등이 포함된다. 또한 가뭄 대비로 저수지, 다목적·용수댐 구축이나, 산사태 예방을 위한 재해방지용 숲가꾸기, 재해취약지역에 대한 조기 정비 및 관리강화를 위한 DB 및 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하는 활동도 포함된다.
해당 경제활동이 포함되는지 여부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 제38조(국가 기후위기 적응대책의 수립·시행)
에 따라 수립된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에 제시되는 기후
재난·재해 관리 관련 추진과제 활동기준에 적합한지 판단하여 확인하여야 한다.
수치예보 모델
미래의 날씨를 예측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일종으로, 대기 운동을 지배하는 수많은 방정식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로 각국 기상청의 슈퍼컴퓨터를 통해 계산한다. 대기 중에서의 물리 과정인 태양에서의 복사, 강수, 대기와 지표면 사이에서 열과 운동량의 교환 등을 변수로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