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녹색분류체계 경제활동 해설서

(4) 기후변화 적응 관련 교육·문화·예술 활동

  • 기후변화

    사람의 활동으로 인하여 온실가스의 농도가 변함으로써 상당 기간 관찰되어 온 자연적인 기후변동에 추가적으로 일어나는 기후체계의 변화

‘기후변화 적응 관련 교육·문화·예술’ 활동

기후변화 적응, 온실가스 감축 혹은 환경개선과 관련하여 교육을 하거나 문화 및 예술 활동을 하는 경제활동이다.


해당 경제활동에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기본법(이하 「탄소중립기본법」)」에 따른 ‘국가기후위기적응정보포털’, ‘학교환경교육정보센터’ 등의 운영, 2050 탄소중립에서 제안하는 ‘소비 과정에서 지속가능형 제품의 확산’, ‘중고거래 및 업사이클링 문화 활성화’, ‘음식문화 개선’ 등의 활동과 2030 NDC(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57에서 발표한 ‘친환경 운전문화 확산’ 활동 등이 포함된다.


해당 경제활동이 기후변화 적응과 관련된 조사·연구 활동인지 여부를 사업계획서 등 관련 자료를 통해 확인하여야 한다.

기후변화 적응

기후변화 적응이란 현재 나타나고 있거나 미래에 나타날 것으로 보이는 기후변화의 파급효과와 영향에 대해 자연·인위적 시스템의 조절을 통해 피해를 완화시키거나 더 나아가 유익한 기회로 촉진시키는 활동을 말한다.



이미 배출된, 그리고 배출되고 있는 온실가스로 인해 기후변화의 발생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이로 인한 영향과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감축과 적응을 동시에 시행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을 예측하고 취약성을 평가하여 통합적인 평가가 이루어진 국가 대비체계를 마련하는 등의 국가 차원의 적응대책이 지속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57 기후변화 파리협정에 따라 당사국이 스스로 발표하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