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대 목표 중 ‘물의 지속가능한 보전’을 제외한 나머지 환경목표에 대하여 공통 배제기준을 충족하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배제기준 충족 여부는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가이드라인>
[붙임 1~2, 4~6] 및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적합성판단 참고서>
‘3장. 배제기준’을 활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공업용수 공급을 위한 중대규모 해수담수화 시설의 경우,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조치를 취하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해수담수화 플랜트는 동일 수질 기준의 대체 수자원 대비 탄소 발생량이 높은 시설로, 담수 생산성은 높이되 에너지 소비 최소화를 위한 조치가 필수적이다. 대표적인 방안으로는 역삼투 공정 내 압력을 회수하여 재이용할 수 있도록 에너지회수장치를 설치하는 방법, 신재생에너지 발전으로 전력사용량 일부 또는 전부를 대체하는 방법, 폐열을 회수하여 담수화 플랜트에 활용하는 방법, 해수담수화에서 배출되는 농축수를 탄소 직접공기포집(DAC) 및 배출원 탄소포집에 적용하는하는 방법 등이 있다. 해당 경제활동이 개별 배제기준을 충족하는지 여부는 사업계획서, 설계도면도, 기술설명서 등을 통해 확인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