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업용수
모든 공업(산업)의 생산과정에서 사용되는 물로 음료용, 생활용 상수와 구별되며 공업(산업)의 업종 및 작업 내용에 따라 수질이 다름원수
지하수, 용천수 등, 자연적, 인공적 상황의 변화에도 수질과 수량의 안정성을 항시 유지하는 인공 처리되기 전 자연 상태의 물취수
상수도와 공업용수 등 각종 용수로 이용하기 위해서 수원에서 필요한 수량을 받아들이는 것정수
원수를 음용, 공업용 등의 용도에 맞게 처리한 물급수
사용처에 물을 공급하는 의미로써, 배수관으로부터 분기한 급수관에 의하여 각 가정에 물을 공급하는 것‘물 공급’ 활동
생활용수 또는 공업용수 공급을 위해 원수를 취수, 정수하거나 이를 배관을 통해 급수하는 활동이다.
해당 경제활동에는 취수장58, 착수정59, 혼화지60, 침전지61 등 원수를 취수, 정수하여 배관을 통해 급수하는 설비를 제조하거나 설치·운영·관리하는 경제활동 또는 마을상수도 원수 고갈과 수질 부적합 지역 식수난 등을 겪고 있는 급수 취약지역을 대상으로 수도급수관 설치나 개인급수 계량기 설치, 지역의 특성에 맞는 소규모 수처리 공정이나 제어 시스템 등을 운영하는 활동이 포함된다. 본 경제활동에는 정수장·배수지 등 수도시설을 구축·운영하는 프로젝트 단위의 사업이 포함되며, 지방상수도·광역상수도·공업용수도 등을 통한 급수과정 중의 상수도 관망 관리 활동은 ‘녹색부문-3-가-(2) 물 수요 관리’ 경제활동에 포함될 수 있다.
해당 경제활동이 생활용수 또는 공업용수 공급을 위해 원수를 취수, 정수하여 이를 배관을 통해 급수하는 설비를 구축·운영하는 활동인지 여부를 수도사업 인가서, 시공계획서, 기술설명서 등 관련 자료를 통해 확인하여야 한다.
물공급 과정
가정용에 준하는 목적으로 이용되는 생활용수 혹은 공업의 생산과정에서 사용되는 공업용수를 공급받기 위해서는 일련의 물 공급 과정을 거쳐야 한다. 물은 댐이나 하천 등의 상수원수로부터 취수되어 도수62 과정으로 정수장에 도착하게 되고, 정수장에 도착한 물은 응집, 침전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오염물질이 제거된다. 이후, 염소를 주입하여 살균 과정을 거쳐 배관을 통해 가정에 공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