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감축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경제활동 해설서

(1) 온실가스 감축 핵심기술 활용을 위한 제조

  • 온실가스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 제2조(정의)에 따라 적외선 복사열을 흡수하거나 재방출하여 온실효과를 유발하는 대기 중의 가스 상태의 물질로,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수소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황(SF6) 및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물질

‘온실가스 감축 핵심기술 활용을 위한 제조’ 활동

6대 환경목표 중 하나인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하여 장려가 필요한 기술들 중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7), 탄소중립8 시나리오 등을 고려하여 선정한 경제활동이다.

해당 경제활동에는 전기화 및 전기활용기술, 수소환원제철, 비탄산염, 혼합시멘트, 불소화합물(F-gas, Fluorinated gases) 대체 및 제거를 위해 필요한 설비를 구축·운영하는 활동만 포함되며, 녹색분류체계 내 다른 경제활동과 중복되는 기술들은 제외된다.

해당 경제활동이 전기화 및 전기활용기술, 수소환원제철, 비탄산염, 혼합시멘트, 불소화합물 대체 및 제거를 위해 필요한 설비를 구축·운영하는 활동인지 여부를 관련 자료를 통해 확인하여야 한다.

전기화 및 전기활용기술

기존 생산 설비의 가동에 사용되는 석탄, 석유, 가스 등의 화석연료 기반 에너지원을 전기 기반 설비로 전환하는 기술을 말한다. 에너지원을 화석연료를 기반으로 하는 경우 연소를 통해 온실가스와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하게 되어, 주변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전기를 사용하여 설비를 가동하는 경우 사업장 내 직접적인 배출을 감소시킴으로 환경을 개선하는 기술로 볼 수 있다.

수소환원제철

수소환원제철법은 철강 생산 시 이산화탄소(CO2) 배출을 야기하는 기존의 석탄 및 천연가스 등의 탄소계 환원제 대신 수소를 사용한 환원공정을 통해 근본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저감하는 기술이다. 탄소계 환원제를 사용하여 철강 1톤 생산 시 약 2톤의 CO2가 발생하며, 수소환원제철법을 적용하는 경우 CO2를 배출하지 않게 된다.

탄소계환원 제철공정

수소환원 제철공정

비탄산염 및 혼합시멘트

비탄산염 대체 기술과 혼합시멘트 제조 기술은 시멘트 제조 시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기술이다. 비탄산염 대체 기술은 시멘트의 소성공정에서 주원료인 석회석(CaCO3)을 산화칼슘(CaO)을 함유한 산업부산물, 슬래그, 비산재 등의 비탄산염으로 대체 사용하여 온실가스 배출을 저감하고,혼합시멘트 제조 기술은 시멘트 제조공정 중 투입되는 혼합재를 섞어서 실리카 시멘트, 슬래그 시멘트, 플라이 애쉬 시멘트, 착색 시멘트 등을 제조하여 석회석 사용을 줄임으로써 온실가스 배출을 저감한다.

불소화합물

불소화합물에는 크게 냉방장치의 냉매 및 소화기 충전재 등에 사용되는 수소불화탄소(HFCs)와 반도체 제도 공정에 사용되는 과불화탄소(PFCs)가 있으며, 두 물질 모두 대표적인 온실가스에 해당된다. ‘불소화합물 대체 및 제거’란 불소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제품을 온실가스가 아닌 물질로 대체 사용하기 위해 구축한 설비 또는 운영 활동을 말한다.

  • 7 기후변화 파리협정에 따라 당사국이 스스로 발표하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 8 인간 활동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대한 줄이고, 이미 배출된 온실가스는 산림 흡수 등을 통해 제거하여 실질적인 온실가스 배출량이 0 수준인 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