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부품·장비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으로써 최종생산물의 고부가가치화에 기여가 큰 것, 첨단기술 또는 핵심고도기술을 수반하는 소재·부품·장비로서 기술 파급 효과 또는 부가가치 창출 효과가 큰 것, 산업의 기반이 되거나 산업 간 연간 효과가 큰 것, 수급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주력산업 등의 생산에 차질을 초래하는 것 중 하나에 해당하는 것온실가스 감축 핵심기술 활용을 위한 소재·부품·장비 제조’ 활동
6대 환경목표 중 하나인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하여 장려가 필요한 기술들 중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9, 탄소중립10 시나리오 등을 고려하여 선정한 경제활동이다. 다만, ‘녹색부문 1-가-(1) 온실가스 감축 핵심기술 활용을 위한 제조’ 활동과는 달리 해당 기술 활용에 필요한 소재·부품·장비의 제조와 관련된 경제활동이다. 소재·부품·장비 강국으로의 도약을 위한 「소재·부품·장비산업 경쟁력강화를 위한 특별조치법(이하 「소재부품장비산업법」)」을 근거로 한다.
해당 경제활동에는 전기화 및 전기활용기술, 수소환원제철, 비탄산염, 혼합시멘트, 불소화합물(F-gas, Fluorinated gases) 대체 및 제거에 필요한 소재·부품·장비 생산을 위한 설비를 구축·운영하는 활동이 포함되며, 이와 동시에 녹색분류체계 내에 존재하며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기술인 재생에너지, 수소, 암모니아, 무공해 차량·철도차량·건설기계·농업기계·선박·항공기·자전거, 제로에너지 건축, 이산화탄소의 포집·저장, 바이오차에 필요한 소재·부품·장비 생산을 위한 설비를 구축·운영하는 활동이 포함된다.
해당 경제활동이 재생에너지, 수소, 암모니아, 무공해 차량·철도차량·건설기계·농업기계·선박·항공기·자전거, 제로에너지 건축, 이산화탄소의 포집·저장, 바이오차, 전기화 및 전기활용기술, 수소환원제철, 비탄산염, 혼합시멘트, 불소화합물 대체 및 제거를 위해 필요한 소재·부품·장비를 생산하기 위한 설비를 구축·운영하는 활동인지 여부를 관련 자료를 통해 확인하여야 한다.
소재·부품·장비
‘소재·부품’이란 상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원재료 또는 중간생산물이고, ‘장비’란 소재ㆍ부품을 생산하거나 소재·부품을 사용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장치 또는 설비로, 해당 경제활동에 포함되는 소재·부품·장비인지 여부는
「소재부품장비산업법 시행령」 제2조(소재·부품 및 장비의 범위)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2조 (소재·부품 및 장비의 범위)
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다.
전기화 및 전기활용기술
기존 생산설비의 가동에 사용되는 석탄, 석유, 가스 등의 화석연료 기반 에너지원을 전기 기반 설비로 전환하는 기술을 말한다. 에너지원을 화석연료 기반으로 하는 경우 연소를 통해 온실가스와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하여 주변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전기를 사용하여 설비를 가동하는 경우 사업장 내 직접적인 배출을 감소시켜 환경을 개선하는 기술로 볼 수 있다.
수소환원제철
수소환원제철법은 철강 생산 시 이산화탄소(CO2) 배출을 야기하는 기존의 석탄 및 천연가스 등의 탄소계 환원제 대신 수소를 사용한 환원공정을 통해 근본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저감하는 기술이다. 탄소계 환원제를 사용하여 철강 1톤 생산 시 약 2톤의 CO2가 발생하며, 수소환원제철법을 적용하는 경우 CO2를 배출하지 않게 된다.
탄소계환원 제철공정
수소환원 제철공정
비탄산염 및 혼합시멘트
비탄산염 대체 기술과 혼합시멘트 제조 기술은 시멘트 제조 시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기술이다. 비탄산염 대체 기술은 시멘트의 소성공정에서 주원료인 석회석(CaCO3)을 산화칼슘(CaO)을 함유한 산업부산물, 슬래그, 비산재 등의 비탄산염으로 대체 사용하여 온실가스 배출을 저감하고, 혼합시멘트 제조 기술은 시멘트 제조공정 중 투입되는 혼합재를 섞어서 실리카 시멘트, 슬래그 시멘트, 플라이 애쉬 시멘트, 착색 시멘트 등을 제조하여 석회석 사용을 줄임으로써 온실가스 배출을 저감한다.
불소화합물
불소화합물에는 크게 냉방장치의 냉매 및 소화기 충전재 등에 사용되는 수소불화탄소(HFCs)와 반도체 제도 공정에 사용되는 과불화탄소(PFCs)가 있으며, 두 물질 모두 대표적인 온실가스에 해당된다. ‘불소화합물 대체 및 제거’란 불소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제품을 온실가스가 아닌 물질로 대체 사용하기 위해 구축한 설비 또는 운영 활동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