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감축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경제활동 해설서

(10) 바이오에탄올·바이오디젤·바이오중유 제조

‘바이오에탄올·바이오디젤·바이오중유 제조’ 활동

바이오에너지에 해당하는 바이오에탄올·바이오디젤·바이오중유를 제조하기 위해 설비를 구축·운영하는 경제활동을 의미한다.


해당 경제활동에는 생물유기체를 변환시켜 액체화석연료를 대체하는 바이오에탄올·바이오디젤·바이오중유를 제조하는 활동만 포함되며, 생물유기체 이외의 원료를 함유하는 경우는 제외된다.


해당 경제활동이 생물유기체를 변환(생물유기체 이외의 다른 원료를 함유하지 않아야 함)시켜 바이오에탄올·바이오디젤·바이오중유를 제조하는 설비를 구축·운영하는 활동인지 여부를 관련 규정 및 공정도·사업계획서 등의 자료를 통해 확인하여야 한다.

바이오에탄올

사탕수수·옥수수·감자·보리 등 주로 녹말작물을 발효시켜 만드는 바이오연료로 차량 등의 연료첨가제로 사용된다. 화석연료와 달리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고, 휘발유와 혼합하거나 단독으로 자동차연료로 투입될 수 있어 바이오디젤과 더불어 대표적인 재생자원 에너지이다.


바이오디젤

콩기름 등 식물성 기름을 원료로 해서 만든 무공해 연료로 자연에 존재하는 각종 기름성분을 물리적, 화학적 처리과정을 거쳐 석유계 액체연료로 변환한 것으로 경유에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이오중유

바이오중유는 동·식물성 유지,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지방산 에틸에스테르 및 그 부산물을 원료로 하여 제조하며, 기력발전소 연료로 사용하는 연료다. 수입산 팜유 부산물, 국내산 바이오디젤 공정부산물 등을 주원료로 활용하여 제조하며, 석유제품(중유) 생산과정인 정제·증류 과정 없이 전처리공정 34→처리공정35→혼합공정36을 통해 생산된다.

  • 34 원료에 포함된 이물질, 금속분(나트륨, 칼륨, 인 등) 등 불순물을 필터나 촉매를 통해 제거하는 과정
  • 35 높은 산성의 원료를 중화시키거나 색, 냄새 등을 제거하는 과정
  • 36 처리공정을 거친 원료를 품질기준에 맞게 섞는 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