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림인증제도
(산림관리협회 인증)
산림인증승인프로그램
(PEFC)
지속가능 산림
이니셔티브(SFI)인증
6대 목표 중 ‘온실가스 감축’을 제외한 나머지 환경목표에 대하여 공통 배제기준을 충족하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배제기준 충족 여부는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가이드라인>
[붙임 2~6] 및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적합성판단 참고서>
‘3장. 배제기준’을 활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해당 경제활동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한국산림인증제도, 산림관리협의회 인증, 산림인증승인프로그램, 지속가능 산림 이니셔티브, ISO22095의 임산물 생산·유통 중 1개 이상 인증을 획득한 원료로 바이오매스를 제작하여야 하며, 이를 관련 자료를 통해 확인하여야 한다.
한국산림인증제도(KFCC)
국내 산림 여건을 반영하여 산림을 환경·사회·경제적으로 지속가능하게 관리하는지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준과 지표를 바탕으로 인증하는 제도로 산림경영(FM, Forest Management Certification)인증과 임산물 생산·유통(CoC, Chain of Custody Certification)인증으로 구분된다.
한국산림인증제도 신청에 대한 안내는 한국임업진흥원 및 인증기관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인증절차 등 상세한 내용은 한국산림인증제도 홈페이지(
kfcc.kofpi.or.kr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산림관리협의회 인증(FSC)
국제산림관리협의회(FSC, Forest Stewardship Council)에서 책임 관리되는 산림 자원이 완제품에 사용되는 것을 소비자가 쉽게 확인하기 위해 만들어진 국제 인증제도로, 산림관리(FM, Forest Management Certification)인증과 연계 관리(CoC, Chain of Custody Certification)인증으로 구분된다.
산림관리협의회(FSC) 인증을 위한 신청 절차는 FSC 홈페이지(
kr.fsc.org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산림인증승인프로그램(PEFC)
산림인증승인프로그램(PEFC, Programme for the Endorsement of Forest Certification)이란 소규모 산림 소유주가 지속가능한 산림 관리를 할 수 있게 하는 국제적 산림인증제도이다. FSC 인증과는 달리 자체 인증 기준을 두지 않고, 여러 국가의 다양한 산림인증제도를 상호 인정하는 방식이다.
산림인증승인프로그램 인증을 위한 신청 절차는 PEFC 홈페이지(
pefc.org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지속가능 산림 이니셔티브(SFI)
북미에서 운영되는 지속가능성 협의체로, 산림의 지속가능성을 인증함으로써 친환경 인증 상품의 구매를 촉진하도록 하기 위한 인증제도다.
지속가능 산림 이니셔티브(SFI, Sustainable Forestry Initiative)에 대한 인증 신청 절차는 SFI 홈페이지(
forests.org
)에서 확인할 수 있다.
ISO22095의 임산물 생산·유통인증
ISO22095는 임산물 생산․유통(CoC, Chain of Custody)에 관한 국제 표준으로 임산물이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인증을 받은 산림에서 나온 제품임을 증명한다. ‘생산 → 유통 → 소비자’까지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고 인증마크가 부착된 제품을 소비자가 구매함으로써 환경보전 및 지속가능 산림경영에 기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