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감축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경제활동 해설서

(1)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포집

  • 이산화탄소

    지구 대기 중에 존재하는 미량의 기체로 지표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 영역대의 복사에너지를 흡수하는 온실가스이며 화석연료 사용 증가에 따라 인위적으로 증가하여 기후의 급격한 변화를 유발할 수 있음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포집’ 활동

2030 NDC52와 국가 탄소중립53달성을 위한 주요 감축 수단인 이산화탄소 포집·저장·이용(CCUS, Carbon Capture·Utilization·Storage) 기술 중 포집을 위한 설비를 구축·운영하는 경제활동이다.


해당 경제활동에는 연소배가스54 포집, 산업 공정가스 포집, 바이오·매립지가스 포집, 연료 연소 중 원천분리, 차세대 포집기술 등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과 관련된 설비를 구축 및 운영하는 활동이 포함된다.


해당 경제활동이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설비를 구축·운영하는 활동인지 여부를 공정도·사업계획서 등 관련 자료를 통해 확인하여야 한다.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에는 석탄이나 가스를 선처리하여 수소와 이산화탄소의 혼합물로 변환시킨 후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연소 전처리(Pre-combustion), 연소 후 배기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용액 속에 흡수시키는 연소 후처리(Post-combustion) 등이 있다.

  • 52 기후변화 파리협정에 따라 당사국이 스스로 발표하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 53 인간 활동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대한 줄이고, 이미 배출된 온실가스는 산림 흡수 등을 통해 제거하여 실질적인 온실가스 배출량이 0 수준인 상태
  • 54 연료의 연소 과정에서 배출되는 가스로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질산화물, 황산화물 등의 성분이 포함된 것